이재명 대통령은 9일 종교계 지도자들과 오찬을 하고, 국정 운영과 국민 통합 방안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이 대통령은 오찬에서 “취임한 지 한 달 남짓 됐다. 선거 과정에서 걱정했던 것처럼 우리 사회가 지나치게 분열적이고 대립적이고, 갈등이 많이 격화돼있어 참 걱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금 한 달 동안은 조금씩 봉합되는 모양새가 보이기도 하는데 정치 상황이 바뀌면 또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종교 지도자 여러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 같다”면서 “종교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사랑과 존중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종교 지도자의 역할이 지금보다는 더 많이 요구되는 시대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각별한 관심으로 우리 사회가 서로 존중하고 화합하고 손잡고 함께 사는 세상, 합리적이고 더 포용적인 세상이 될 수 있게 큰 역할을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7개 종교가 참여하는 협의체인 한국종교지도자협의회 공동대표의장이자 조계종 총무원장인 진우스님은 인사말에서 “지난 7개월은 근·현대사적으로 가장 국난에 가까웠던 시기였음에도 국민이 집단지성으로, 이성적으로 잘 갈무리해줘 정말 대단했다”고 말했다.
진우스님은 “대통령이 그 중심에서 국민을 잘 선도해줬다. 결과적으로 지금의 안정된 기반을 갖기 위해 대통령이 큰 역할을 해 줘 개인적으로는 굉장히 눈시울이 뜨거울 정도로 감사한 마음이 든다”고 언급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오찬 분위기는 시종일관 화기애애했고 사회 갈등 해소를 위한 종교계의 역할과 교육·인권·평화 등 폭넓은 사회 현안에 대한 의견이 자유롭게 오갔다”며 “각 종단의 숙원 사업과 함께 새 정부에 대한 구체적 바람도 전달됐다”고 전했다.
약 80분간 진행된 오찬에는 오이수삼냉채, 흑임자두부선 등 채식 위주의 한식과 후식용 무화과가 제공됐다. 종교계의 생명 존중, 비폭력 정신과 풍요, 평화, 안식 등을 상징하는 구성이라고 강 대변인은 설명했다.
이 대통령이 종교계 인사를 만난 것은 지난 7일 바티칸 성직자부 장관인 유흥식 추기경을 접견한 이후 두 번째다. 행사에는 국내 7개 종교 지도자 11명이 참석했다. 진우스님과 함께 불교계에서 천태종 총무원장 덕수스님과 태고종 총무원장 상진스님, 기독교에서 김종혁 한국교회총연합 대표회장과 김종생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 천주교에서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인 이용훈 마티아 주교와 천주교 서울대교구장인 정순택 대주교가 참석했다. 나상호 원불교 교정원장, 최종수 유교 성균관장, 박인준 천도교 교령, 김령하 한국민족종교협의회 의장도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