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초 위기에 놓였던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을 수장으로 다시 출범했다. 윤 위원장은 “혁신의 주체는 당원”이라며 재창당 수준의 혁신과 전당원투표 가동 계획을 내걸었지만, 인적쇄신 여부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다음달 예정된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장은 황우여(사진)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맡는다.

국민의힘 송언석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브리핑에서 “윤 원장을 혁신위원장으로, 황 전 비대위원장을 선관위원장으로 모시기로 오늘 비대위에서 의결했다”고 밝혔다.
송 원내대표는 윤 위원장 임명에 대해 “중도보수를 대표하는 ‘경제통’ 윤 위원장이 혁신 임무를 잘 이끌어주리라 믿는다”면서 “우리 당이 실패한 과거와 결별하고 수도권 민심으로 다가가는 정책 전문 정당으로 거듭나는 혁신의 조타수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위원장은 임명 후 첫 브리핑에서 “혁신의 주체는 당원”이라며 “혁신위의 사명은 당원들이 의사를 표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윤 위원장은 의원총회에서는 의원들을 향해 “재창당 수준의 혁신안을 마련할 것이고 이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2번 정도의 전당원투표를 가동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윤 위원장은 당 안팎에서 혁신 최우선 과제로 지적되는 ‘인적쇄신’ 조치에 대해서는 확답을 피했다. 윤 위원장은 “특정인들에게 칼을 휘두를 권한을 우리 당원은 어떤 개인에게도 준 적이 없다”며 “혁신은 특정 개인이나 계파의 전유물이 아니다”라는 우회로를 택했다. ‘당원들의 요구’가 있을 경우에만 인적쇄신 조치를 단행할 수 있다는 취지다.
당 안팎에서는 인적쇄신의 필요성을 계속해서 제기하고 있다.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은 SBS 라디오에 출연해 “당에서 여러 개혁을 이야기하고 국민 상식에 맞는 것을 이야기하려고 할 때 이를 가로막는 세력들이 있다고 느꼈다”며 “우리의 과오를 인정하지 않으려고 하는 세력들이 혁신대상이라고 생각한다”는 인적 청산론을 꺼내 들었다.
혁신위 실효성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도 여전하다. 친한(친한동훈)계로 분류되는 진종오 의원은 당원주권 확립을 위해 당헌 개정 등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윤희숙 혁신위’에 대해 “과연 40일 (임기) 동안 혁신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인지, 전당원들이 납득할 수 있는 혁신위원장인지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의총에서 ‘독재방지특별법’ 제정에 뜻을 모았다.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는 ‘내란특별법’에 대한 맞불 차원이다.
독재방지특별법안에는 △대통령의 보은성 사면·복권 제한 △1특검 1사건 원칙에 따른 특검의 무제한 수사 금지 △법적으로 임기가 보장된 공공기관장에 대한 정치적 사퇴 금지 △불법 대북 송금 등 대북 제재 위반범 배출 정당에 대한 국고보조금 차단 △기존에 진행 중인 대통령의 형사재판 계속 진행 등의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